![]() |
7월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앞에서 열린 '효창공원 국립묘지화 반대' 집회에서 용산구의원과 서울시의원들(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미재 의원, 오천진 의원, 최유희 서울시의원, 김성철 의장, 김송환 의원, 장정호 의원, 이인호 의원, 권두성 의원)이 주민의 일상권 보호와 생활공원 유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김동영 기자 |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국회의원(경기 안양시 동안구갑) 등이 발의한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알려지자, 효창공원의 국립묘지화를 우려한 용산구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7월 12일 오후 5시,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앞에서는 국민의힘 용산 당원협의회 주관으로 시의원·구의원·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효창공원 국립묘지화 반대 집회'가 열렸다.
이날 현장은 무더위 속에서도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주민들은 “효창공원은 70년간 구민의 쉼터였다”며 “생활권 침해가 우려되는 국립묘지화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행사는 김성철 용산구의회 의장의 사회로 진행되었고, 최유희 서울시의원을 비롯해 김송환·이미재·오천진·권두성·장정호·이인호 구의원, 장진국 용산하나로회 회장 등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 대표들이 대거 참여했다. 이들은 정치적 이해관계보다 주민들의 일상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 |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앞에서 열린 '효창공원 국립묘지화 반대 집회'에 참석한 주민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김동영 기자 |
"당시에도 지역사회와 충분한 소통 없이 일방적하여 구민 20,000여 명이 반대서명하여 무산됐는데,
이번 역시 주민 의사를 무시한 채 재발의되었다는 점에서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어 "효창공원은 단지 공원이 아닌, 하루 평균 1,000여 명 이상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생활형 공간"이라며
"국립묘지로 전환되면 경건한 의전행사와 보안 통제, 시설 이용 제한 등이 뒤따를 것이며 이는 곧 주민 일상의 침해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 |
장진국 용산하나로회 회장(중앙)이 효창공원 앞에서 열린 '효창공원 국립묘지화 반대 집회'에서 마이크를 잡고 발언하고 있다. ⓒ김동영 기자 |
무엇보다도 마음을 쉬게 해주는 일상의 귀한 안식처로 자리해 왔다.며 “국가사업이라 하더라도 지역 주민의 삶을 제약하거나 공동체의 정신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 높였다.
이날 집회를 통해 국민의힘 용산당협은 국립묘지화 반대 서명운동을 공식 발족했다.
관계자들은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알리기 위한 설명회와 토론회를 개최하는 한편, 국회와 정부 부처를 대상으로 공식적인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의열사 앞에서 열린 '효창공원 국립묘지화 반대 집회' 직후, 참석자들이 단체 기념촬영을 하며 결속을 다지고 있다. ⓒ김동영 기자 |
도심 속 생활형 공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국가 차원의 역사기념공간으로서의 의미와, 지역사회의 일상적 이용 가치 사이에서 균형 있는 해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삶의 기억이 켜켜이 쌓여 있는 공간은, 단순한 공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주민의 발걸음과 정서가 배어 있는 효창공원이 과연 어떤 방향으로 미래를 맞이하게 될지, 지역사회와 행정당국 간의 진지한 대화와 숙의가 절실한 시점이다.
주민들과 지역 정치권은 효창공원 국립묘지화가 주민 이용권과 일상권을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다며, “주민 동의 없는 일방적 추진은 결단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