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유희 서울시의회 교육위원(국민의힘, 용산2)이 행정사무감사장에서 질의하고 있다. |
최유희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은 지난 12월 7일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혁신교육전공 대학원의 모호한 정체성과 교과과정의 편향성을 지적하며, 균형감 있는 교육과정 설계를 촉구했다.
혁신교육전공 대학원 석사과정은 서울시교육청이 실천적 혁신교육활동과 이론을 접목한 학습기회 제공을 목표로 교사 재교육을 위해 2018년부터 3개 대학(성공회대, 건국대, 한국교원대)과 MOU를 체결해 2021년에는 90명에게 총 4억2천3백만원의 예산(등록금의 85%를 지원)을 지원했다.
최유희 의원은 혁신교육이라는 전공이 과연 학문으로서 실체를 가지고 있는지 그 가치와 존재성이 명확한지부터 살펴보아야 하며, 지원 필수 사항에 혁신교육의 일반화 기여도, 혁신교육 정책 포럼 등 발표 실적 등을 요구함으로써 자칫 교사들의 자율적인 자기개발과 선택권을 제한할 소지가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한 혁신교육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마르크스 사상과 철학 강의 등 한쪽 논리에 치우친 과정이 보인다며 혁신교육정책이 이념적으로 설계되 있다고 꼬집었다. 이뿐만 아니라 현장교육 등 실습 과정이 거의 없으며, 사례와 이론 중심이 대부분이어서 혁신교육의 실천적인 기회 제공이라는 목표가 무색하고, 기존의 학문들을 가지고 혁신교육이라는 틀에 맞춰 구성한 것이 아니냐며 질책했다.
최유희 의원은 행정사무감사를 마치며 위탁 대학 중 성공회대학이 있는 것은 우연의 일치인지, 조희연 교육감의 전직이 성공회대 교수이어서 향후 복직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며, 혁신학교 근무 경력 교사들에게 유리한 제도라는 점에서 혁신교육전공이라는 명칭으로 교사들을 선발해서 수억 원을 지원하는 것은 조희연 교육감의 친위부대 양성을 위한 혁신사관학교 생도를 모집하는 것이 아니야고 말한 '국가교육국민감시단'의 인터뷰를 빌려 강도 높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