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2월 11일 용산구청 대회의실에서 7개 자치단체가 경부선(서울역~당정역) 지하화 추진협의회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 왼쪽부터 안동광 군포 부시장, 유성훈 금천구청장, 최대호 안양시장, 박희영 용산구청장, 최호권 영등포구청장, 엄의식 구로구 부구청장(권한대행), 장영민 동작구 부구청장 / 용산구 |
이날 회의에는 박희영 용산구청장, 장영민 동작구 부구청장, 최호권 영등포구청장, 엄의식 구로구 부구청장(권한대행), 유성훈 금천구청장, 안동광 군포 부시장, 최대호 안양시장이 참석하여 경부선의 지하화 필요성과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
![]() |
경부선(서울역~당정역) 지하화 선도사업 및 종합계획 반영을 위한 공동 건의문 / 용산구 |
특히, 올해 1월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협의회는 지난 3월에도 경부선 지하화 촉구 건의문을 국토교통부에 전달했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선도사업 제안서에 따르면, 경부선 구간은 상부 부지 개발을 통해 지하화 사업비를 충당할 수 있다. 또한, 경부선 지하화는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효과가 크고, 자치단체들의 추진 의지가 강하다는 점에서 이 구간이 1차 선도사업 대상지로 선정돼야 한다는 것이 7개 자치단체의 공통된 의견이다.
경부선 지하화 추진협의회 회장인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경부선 지하화는 단순한 교통 개선을 넘어서, 서울과 경기 지역의 균형 발전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이 구간의 지하화가 1차 선도사업으로 조속히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지향적인 교통인프라 구축과 지역 단절 해소, 철도 주변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경부선 지하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월, 5개 광역지자체에서 총 8개의 선도사업 제안서를 제출받았다고 밝혔다. 제안서에는 ▲서울특별시의 경부선과 경원선 ▲부산광역시의 경부선 ▲인천광역시·경기도 합동 경인선 ▲대전광역시의 대전조차장 및 대전역 ▲경기도의 경부선과 안산선이 포함되어 있다.
국토교통부는 제출된 사업 제안서를 바탕으로 올해 연말까지 서면평가와 현장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1차 선도사업 대상지를 발표할 계획이다. 선도사업 선정 기준은 ▲사업 추진 필요성 및 타당성 ▲철도 지하화 계획 및 개발계획 합리성 ▲사업 실현 가능성 ▲사업 효과 등이다.